카테고리 없음

홍남표 : 제4대 경상남도 창원시장, 그에 대해 알아보자.

인간의 사람 2025. 4. 3. 15:58
반응형
728x170
홍남표 창원시장은 1960년 7월 10일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외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우거초등학교, 법수중학교, 마산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건축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병역은 육군 제1공병여단에서 중위로 복무하였으며, 1987년 7월 25일부터 1990년 3월 31일까지 복무 후 전역했다.
반응형

홍 시장은 제18회 기술고시에 합격하며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과학기술부장관 비서관을 시작으로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과학기술부 홍보관리관, 재정기획관 등 다양한 정부 부처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 대변인, 원자력국장, 부산대학교 사무국장, 미래창조과학부 감사관 등을 역임하며 과학기술 및 교육 행정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이후 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전략기획단장,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 한국연구재단 사무총장 등을 맡으며 국가 연구 및 기술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2022년 7월 1일, 홍남표는 제4대 경상남도 창원시장으로 취임하였다. 그의 임기는 2025년 4월 3일까지이며, 현재 창원시의 행정을 이끌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국민의힘 소속이며, 창원의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및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성균관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초빙교수 및 객원교수로 활동하며 학문 분야에서도 기여하고 있다.

홍남표: 창원의 미래를 설계한 시장, 그리고 불명예 퇴임

 

홍남표 전 창원시장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공직자로서,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되어 창원시를 이끌어왔다. 그러나 그의 정치 여정은 화려한 시작과 달리 불명예스러운 퇴임으로 마무리되었다.

1960년 7월 10일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외리에서 태어난 홍남표는 우거초등학교, 법수중학교, 마산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에 진학했다. 1982년 제18회 기술고시에 합격하며 공직에 입문한 그는,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7년 육군 공병 소위로 임관하여 제1공병여단에서 복무한 후 1990년 중위로 전역하였다. 이후 과학기술부에서 재직하며 다양한 직책을 수행했고,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 등의 요직을 거치며 과학기술 정책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정계에 발을 들인 그는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후보로 창원시장에 출마했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홍남표는 자신의 과학기술 분야 경력을 내세우며 창원국가산업단지의 원자력 산업 생태계를 복원하겠다는 공약을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창원 경제에 미친 부정적 영향을 비판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원자력 중심의 경제 활성화 전략을 제시했다. 이러한 공약은 창원 시민들에게 신뢰를 주었고, 결과적으로 60%에 가까운 득표율로 현직 시장인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그의 정치 행보는 순탄치 않았다. 2022년 11월, 국민의힘 당내 경선에 출마하려는 인사에게 불출마를 조건으로 공직을 제공하려 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1심에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검찰의 항소로 진행된 항소심에서 부산고등법원 창원재판부는 원심을 파기하고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 홍남표는 이에 불복하여 상고했으나, 2025년 4월 3일 대법원이 상고를 기각하면서 형이 확정되었다. 이로 인해 창원시장직이 자동적으로 박탈되었고, 그는 임기를 1년 2개월 남겨둔 상태에서 불명예 퇴임하게 되었다. 창원시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후임 시장을 선출하기까지 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홍남표는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탄탄한 경력과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창원의 미래를 설계하려 했으나, 정치적 판단 실수로 인해 짧은 임기 내에 시장직을 잃었다. 그의 사례는 지방자치단체장으로서 공정성과 윤리의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남게 되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