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주소입니다. rss 주소입니다.

celebrity

유흥식 라자로 : 제65대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그에 대해 알아보자.

인간의 사람 2025. 4. 24. 13:24
반응형
728x170
유흥식 라자로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에서 1951년 11월 17일에 태어났습니다. 그는 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사제로 출범한 그는 1979년 12월 8일에 성직자로서의 길을 시작했습니다.
반응형

2003년 8월 19일부터 2005년 4월 5일까지 대전교구 부교구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이어서 2005년 4월 6일부터 2021년 7월 29일까지 제4대 대전교구장으로 임명되어 교황청에서 주목받는 기간을 보냈습니다. 그는 2021년 8월 2일부터는 제65대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현재까지 이 직책을 맡고 있습니다. 추가로, 2022년 8월 27일부터는 추기경으로 승격되어 더욱 깊은 신성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님은 착한 목자 예수님 성당의 명의부제를 자랑으로 하며, 대전교구 명예주교이자 개인적으로 대주교 승품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는 대한민국과 바티칸의 복수 국적을 가진 교회 인사로서 글로벌한 저명함을 자랑합니다.

유흥식

“라자로의 여정” – 유흥식 추기경, 한국 가톨릭의 현재이자 바티칸의 미래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은 대한민국 가톨릭교회뿐 아니라 바티칸에서까지 주목받는 인물이다. 1951년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난 그는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을 졸업한 뒤,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박사 학위를 받으며 로마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사제로서의 삶을 시작한 그는 귀국 후 다양한 교회 내 직책을 역임하며 대전교구의 중심 인물로 성장했다. 2003년 대전교구 부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고, 2005년에는 제4대 대전교구장으로 착좌했다. 유 추기경의 지도 아래 대전교구는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청년 사목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에도 중대한 역할을 맡았으며, 특유의 온화함과 유머 감각으로 신자들의 신망을 얻었다. 그의 강론은 교리적 깊이와 함께, 교황과 나눈 이야기나 일화로 채워져 종종 신자들에게 웃음과 깨달음을 동시에 선사했다.

유 추기경의 영향력은 국내를 넘어 바티칸으로 뻗어나갔다. 2021년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으로 임명된 그는 한국인 최초로 교황청 차관보급 이상의 고위직을 맡게 되며 주목받았다. 그 직책은 단순한 행정 관리를 넘어, 전 세계 가톨릭 사제들의 양성과 배치를 책임지는 중책이다. 임명 당시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두 차례 단독 면담은 그의 영성과 신뢰를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었다. 2022년에는 교황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며 다시 한번 전 세계 가톨릭 공동체의 중심에 섰다. 그는 서울대교구장을 역임하지 않고 추기경으로 서임된 첫 한국인으로, 이는 바티칸이 그를 지역 교회 지도자 이상으로 평가했음을 시사한다. 교황청 주요 직책의 전통적 관행을 넘어선 이례적 승진은 곧 그에 대한 교황의 강한 신뢰와, 그가 가진 국제적 역할의 확장을 의미한다.

최근 유 추기경은 단순히 바티칸의 장관을 넘어, 차기 교황 후보 중 한 명으로 세계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2025년 4월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함에 따라, 그는 사상 두 번째로 콘클


라베에 참석한 한국인 추기경이 되었다. 일부 외신과 국내 언론은 2027년 서울에서 개최될 세계청년대회를 앞두고, 동아시아권 인물로서 그의 교황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여전히 낮은 확률이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의 파격적 행보를 이어받을 수 있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유흥식 추기경은 교황의 방북을 추진해온 인물로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가톨릭의 중재자 역할도 수행해왔다. 그는 한편으로 정의구현사제단에 우호적인 진보적 성향을 보이면서도, 보수 성향 정치인과의 깊은 인연도 가지고 있는 등, 교회 내에서 보기 드문 정치적 균형 감각을 지닌 인물이다. 그의 길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언젠가 로마 교황으로서 새 역사를 쓸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지만, 그는 이미 한국 가톨릭사의 중요한 한 줄을 차지하는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반응형
그리드형